Life Quality Creators

제네스는 더 좋은 공간을 설계하고
특별한 이야기를 담아내기 위해
두 발로 뛰어다니고, 두 눈으로 감상하며
모든 감각으로 공간과 직접 감응했던 순간들을
사진과 글로 공유합니다.
누구도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근본적 가치를 만들어 내는 것,
그것이 제네스가 향해가는 길 입니다.
이를 통해 제네스는
최고가 되기 보단 유일한 곳이 되고자 합니다.

#TREND  #SPACE  #ARCHITECTURE  #CONCEPT

#DESIGN  #BRANDING  #MARKETING

명동, 문화가 피운 도시는 죽지 않아

조회수 9574



오래전 조선의 이야기이다. 이곳 명동은 ‘명례동’ 혹은 ‘명례방’으로 불렸다. 주로 가난한 선비들이 모여 사는 주거단지로 알려져 있다. 선비는 글과 학문을 익히고, 그림과 음악을 즐기며 풍류를 즐긴다. 이 이야기만 들으면 어딘가 현대의 우리가 알고 있는 도시 조직들과 유사한 이야기들이 떠오른다.

-

‘홍대, 연남동, 문래동, 경리단길’ 모두 가난한 예술가들이 이주해가면 번성하기 시작한 도시 조직들이다. 아쉽게도 대형자본이 이 땅의 이점을 보고 유입되며, 그 예술가들은 높아진 임대료를 버티지 못하고 또 다른 곳으로 쫓겨난다. 지금은 그들이 또 어디로 움직였는지 알 수 없다. 가난한 예술가들이 그들의 특색을 도시 공간에 펼쳐내며 만들어내는 특유의 문화 도시 같은 감상은 시대를 막론하고 많은 이들에게 좋은 영감을 주는 곳이었을지도 모르겠다.

-

명동의 도시 발전과 역사를 명확하게 알고 있지는 않지만, 지금에 비추어 보니, 재미난 생각이 떠올라 조금 끄적여 보았다.

-

각설, 이곳 명동의 시작은 그랬지만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명동은 그때와 전혀 다르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상업의 중심지가 되기도 했으며, 지금은 초대형 상업 공간들이 많이 들어서며, 연일 사람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도시 조직 중 하나이다. 이런 명동이 요즘과 같이 매일 번성하지는 않았다. 가까운 시기에는 ‘코로나 시국’과 함께 재정비를 들어가야 하는 곳 중 하나였다. 특히나, 외국인 관광객의 수요가 많은 관광 지구였기 때문에 해외여행이 빗장을 걸어 잠그는 이 시기에는 많은 공간이 버티지 못하고 사라졌었다. 당시의 명동을 생각해 보자면 건물만 으리으리한 슬럼가나 다름없었다. 그런 명동이 이제는 어느 정도 코로나의 위협에서 벗어나 활력을 찾아가는 중이다.

-

언제 명동이 그랬냐는 듯 다시금 살아나는 이 땅의 모습을 어떻게 알았는지, 많은 이들이 사랑하는 브랜드 ‘블루보틀’이 명동의 이야기들을 품고 이곳에 둥지를 틀었다.

-

로컬의 성향을 잘 맞춰 들어가는 브랜드인 블루보틀은 그 문화적 특색을 잘 이해하고 이번에도 재미난 카페를 준비했다. 첫 번째로는 유동 인구가 많고 북적이는 길의 특성을 이해하고 커피를 ‘to go’로만 제공한다. 빠르게 받고 이동해야 하는 제공 방식에 맞춰 손이 많이 가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브루잉’은 제공하지 않는다. 두 번째는 어마어마하게 많은 코스메틱 매장이 많은 명동인 만큼 블루 보틀도 그 땅의 주변을 받아들이고, 핸드 스크럽을 팔고 있다. 브랜드 ‘시낭’과 함께 협업한 제품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을 즐기러 온 외국인 관광객이 많은 관광특구라는 점을 들어 한국적인 무언가도 공간에 들여뒀다.

-

‘자양’이라는 한옥 공간의 전통적인 장면(scene)의 이야기이다. 한옥에는 3가지 장면을 다루는 이야기가 있다.

-

1. 차경 _ 액자같이 생긴 창 너머로 자연의 풍경을 빌려오는 것이다.

2. 자경 _ 내부 공간 특히나 ㅁ 자형 한옥의 안방[안주인이 기거하는 가장 깊은 공간]에서 창을 열어 집안 식구들과 방의 모습이 켜를 넘고 넘어 보이는 장면. 안주인이 집안 식구들의 용모나 행동거지를 이 켜를 통해 넘어 보며, 잘 다스려야 한다는 개념이 있기도 하다.

3. 장경 _ ‘장’자는 마당 장자이다. 한옥의 메인 정문[솟을대문]에서 바라본 가옥 내부의 경치. 이 대문을 하나의 큰 장벽으로 생각하며, 차경과 자경을 아우르는 한옥에서의 장면을 잘 가꾸어 보인다는 개념을 가지고 있다.

-

그중 하나인 ‘자경’이라는 것이 이 공간에 일부 차용되어 있다. 내부에 들어가면 커피를 내리는 메인 스테이션이 형태적으로 그 개념을 따르고 있다. 입구에 들어오자마자 켜를 넘어 뒤쪽 다른 개념의 공간이 관통해서 보이는 재미난 표현이다. 이것이 한옥에서 볼 수 있는 무언가이니 한국을 찾아온 외국인들에게도 우리의 문화를 전달하는 좋은 매개체가 되지 않을까?특히나 공간의 형태와 표현법이 전통이라는 소재를 직설하지 않고 차용과 재해석이라는 은유를 통해 현대적 감상을 덫 씌우니 지금을 살아가는 시대의 사람들에게 좋은 영감이 되기도 한다.

-

이렇게 도시 조직의 문화적 맥락을 잘 이해하고 또 새로운 문화를 꽃피우는 곳이니, 한 번 들러서 즐겨보는 것도 좋아 보인다.

-

이곳은 문화가 꽃피는 도시 명동의 #블루보틀명동 #블루하우스이다.